아두이노 IDE에서 환경설정에 들어간다. (Mac: Arduino > Preference, Win: File > Preference)
추가적인 보드 매니저 URLs에 https://dl.espressif.com/dl/package_esp32_index.json을 입력해준다.
그 후 툴 > 보드 > 보드 매니저에 들어간다.
esp32를 검색하면 한 가지 항목이 나타난다. 위에 추가적인 보드 매니저 URLs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게 뜨지 않는다.
나타난 항목을 설치해준다.
이제 툴에 가면 보드가 ESP32 > ESP32 Dev Module이 나타난다. 이를 선택해주면 위 사진과 같이 관련된 다양한 내용이 나타난다.
이 상태에서 작업을 해주면 된다.
'컴퓨터 >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베디드시스템설계실험 텀프 - 손 크기에 따른 세정제 양 분출 조절기 (0) | 2021.11.14 |
---|---|
ESP WROOM32로 OLED 제어하기 (128x64 OLED) (0) | 2021.09.24 |
라즈베리파이4 시작하기 - OS다운부터 부팅까지 초기 설정 (0) | 2021.09.14 |
아두이노 12v 워터펌프 모스펫 회로도 연결법과 소스코드 (2) | 2021.09.01 |
아두이노 12v 쿨링팬 모스펫 회로도 연결법과 소스코드 (6) | 2021.09.01 |
댓글